'없이'의 '-이'와 이를 포함한 부분의 지위에 대하여(스압)
게시글 주소: https://sex.orbi.kr/00058939308
'없이'가 들어간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는 논란이 되는 부분이다. 부사절과 부사구의 뚜렷한 구분과 '-이'의 성분이 정확히 무엇인지 아직 명확히 결정된 바가 없어서 그런 것인데 대립이 매우 첨예하다. 이 글에서는 '없이'가 들어간 부분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끝에 세줄요약 있음
우선 절(節)과 구(句)를 정의해야 한다. 학교문법에서 '절'이란 '주어와 서술어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면서 자립하여 쓰이지 못하고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쓰이는 단위'를 뜻하고, '구'는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절이나 문장의 일부분을 이루는 토막'을 뜻한다. 절은 주어와 서술어를 갖춘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통합된 단위이나, 구는 주술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인 단위이다. 문장 내에서의 역할에 따라 '절'은 부사절, 명사절, 관형절 등으로, '구'는 부사구, 명사구, 부사구 등으로 나뉜다.
절과 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 있다면 '없이'가 어떤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두 가지 견해가 있다.
1) 없-(어근) + -이(부사 파생 접미사)
2) 없-(어간) + -이(부사형 전성 어미)
1로 보면 부사가 되고 2로 보면 용언의 활용형이 된다. 현재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선 이러한 맥락에서의 '-이'를 어미로 인정하고 있지 않으며 부사 파생 접미사로 등재되어 있다. 접미사는 어미와 달리 분포성에 제약을 보이는데 이는 어미는 어간이라면 음운론적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이상 거의 모든 어간에 붙는다는 점에서 제약성이 없고, 접미사는 어근과 결합할 때 선행 어근(어기)의 성질에 따라 제약성을 갖는다는 뜻이다. 생각을 해 보면 어미는 어간이라면 붙지만 접미사는 그렇지 않다. 저번에 올린 '조사를 단어로 보는 이유'에서도 분포상의 제약을 말한 적이 있는데 비슷한 맥락이다. '-이'와 '-게'를 비교해 보자.
부파접 '-이'는 어근과 결합할 때 제약이 많지만 부사형 어미 '-게'는 어간과 결합할 때 제약성을 띠지 않는다.
- 많이, 없이(O) / 검이, 작이, 죽이, 좁이, 낫이/나이 (X)
- 많게, 없게, 검게, 작게, 죽게, 좁게, 낫게 (O)
또 부파접 '-이'는 일부 1음절 명사의 반복 구성 즉 첩어 뒤에 붙어 부사를 만들기도 하는데 어미라면 이러한 특수성을 보이지 않는다.
- 예) 집집이, 나날이, 겹겹이, 곰곰이
그리고 '-이'를 어미로 본다면 '일찍이'와 같은 부사 뒤에 붙는 경우를 설명하지 못하게 된다. 어미가 부사에 붙지는 않으니 말이다. 물론 이1과 이2로 나눌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아니다. 수험생 수준에서 신경 쓸 문제가 아니다.
반면에 어미로 보자는 입장은 부사의 한계와 일관성을 근거로 삼는다. '부사'는 용언의 활용형과 달리 서술성이 있다고 볼 수 없고 아예 하나의 형태로 굳어져 수식 기능만을 가지는 놈이다. 부사가 문장을 이끄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은 상황이다. 또 문법을 기술할 때 일관성을 위해서 '이'를 어미로 봐야 한다고도 한다. 여기서 정리해야 할 것은 부사의 서술성을 예외적으로 인정하여 부사가 부사절을 이끄는 것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부사라는 품사가 절을 이끄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하여 어미로 볼 것인지이다. 다만 우리가 신경 써야 할 건 교수의 의견이 아니라 학교문법의 견해이다. 국어학 공부하려고 언매 하는 게 아니니.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없이'를 설명할 때 '부사'로 다루고 있다. 즉 국국원과 같은 견해를 따르는 것이다. '-이'는 부파접이고 '없이'의 품사는 '부사'이다.
자 이제 '없이'의 지위는 해결이 되었다. 이젠 '없이'가 포함된 성분의 문법적 층위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과연 '없이'가 들어간 성분을 구로 설정할 것인지, 절로 설정할 것인지를 해결해야 한다.
예문 하나 보고 가자.
"비가 소리도 없이 내린다."
이번에도 견해가 두 가지이다.
1, 부사가 어떻게 절을 이끄냐? 부사구로 봐야 함 ㅇㅇ
2. 부파접이 붙어 부사가 된 경우이긴 하지만 서술성 있음. 예외적인 부사절로 봐야 함 ㅇㅇ
1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절은 이 글의 초반에서 말했듯이 주술관계가 성립해야 한다. '없이'를 부사로 보는 것이 학교문법의 입장이라면, 주술관계로 정의되는 절을 분석할 때도 '소리도 없이'에서 '없이'는 용언의 활용형이 아니니 주술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이다. 부파접이 붙어 하나로 어휘화된 새끼가 어떻게 절을 이끄냐는 것이다. 논리적으로 봐도 이상하다. 용언의 활용형이 아니라 단순히 부사가 있는 것이니 부사절이 아니라 부사 '없이'로 유도된 부사구로 처리하는 견해이다.
2의 견해를 보자.
"비가 소리도 내린다." (X)
'없이'를 빼 버리니 문장이 성립하지 않는다. 즉 '소리도'는 '없이'가 요구하는 성분, 즉, '없이'의 주어로밖에 분석되지 않는 것이다. '소리도'는 '내린다'가 요구하는 게 아니라 부사인 '없이'가 요구하는 것이다. 이상하다. 부사가 어떻게 주어를 요구하는지 의심이 들 순 있다. 하지만 이는 어미적 성격이 남아 있어 '없이'를 뺐더니 말이 안 되는 것이다. '소리도'에 호응하는 게 없단 얘기는 '소리도 없이'가 하나의 단위로 묶여 있다는 것이고, 여기서 '소리도'를 '없이'의 주어로 보는 것 말고는 다른 해석의 여지가 없다. 학교문법에서 '없이'의 '-이'를 접사로 처리했고 따라서 부사절을 만드는 접사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서술성이 존재하고 호응하는 성분이 있으니 접사가 절을 이끈다고 보는 것이다. 즉 예외적으로 일부 접사가 부사절을 만들고 있다고 해석한 거다. 서술성이 명백하니 부사절이 맞는데, '없이'가 형태론적 사정상 부사로 처리될 뿐이다고 보는 것이다.
학교문법은 대체로 2를 따른다.
세줄요약(학교문법)
1. '없이'는 부파접이 붙은 부사이다.
2. '없이'가 이끄는 부분은 부사절로 처리된다.
3. 수능이라면 1과 2로 보고 내신이라면 선생님을 따라라
* 내신이라면 출판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선생님의 말씀을 따르시길 바라고, 수능에서 만난다면 지문에서 제시를 할 테니 걱정 마시길 바랍니다. 사족이지만 논란이 될 만한 문제는 출제하지 않는다고 보는 게 제 입장입니다. 규범 문법은 학술을 위한 경연장이 되어선 안 됩니다. 소위 더러운 문제를 출제하려고 일부러 논란이 될 만한 부분을 애매하게 섞어서 문제를 낸다면 오히려 학생들의 혼란을 가중시킬 테니 말이죠. 물론 내신에서 이런 선생님을 만나신다면 그분의 말씀을 따르세요. 교과서와 선생님의 말씀을 따르신다면 내신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거고 평가원에서 이런 문제를 낸다면 부사절로 보시길 바랍니다. 이게 일반적인 견해니까 말이죠.
아래는 그냥 재미로만 보세요.
------------------------------------------------------------
이1과 이2로 나눈다?
(1) ㄱ. 이 영화는 눈물 없이 볼 수 없다.
ㄴ. 소는 말과는 달리 걸음이 느리다.
(2) ㄱ. 우리는 저녁을 많이 먹었다.
ㄴ. 봄이 되면 종달새가 높이 날았다.
곧 고등학교 문법에서는 (1)의 ‘눈물 없이’와 ‘말과는 달리’에서 실현된 ‘-이’를 부사를 파생하는 접미사로 본 것입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파생 접사는 용언의 활용 어미와는 달리 (2)의 ‘많이’와 ‘높이’에서 처럼 특정한 단어를 완전히 다른 단어로 파생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렇게 되면 (1)에서 ‘없이’와 ‘달리’는 각각 형용사인 ‘없다’와 ‘다르다’에서 새롭게 파생된 부사로 보아야 합니다. 그런데 고등학교 문법에서 처리한 것처럼 (ㄱ)의 ‘없이’와 (ㄴ)의 ‘달리’를 부사로 본다면 ‘눈물 없이’와 ‘말과는 달리’는 서술어로 쓰여야 하는 용언을 가지지 못하므로 부사절이 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깁니다.
따라서 만일 ‘없이’와 ‘달리’의 ‘-이’가 부사절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려면, 이때의 ‘-이’를 ‘-게’나 ‘-도록’처럼 부사형 어미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처럼 (1)에서 부사절을 형성하는 ‘-이’를 부사형 어미로 본다면, 이때의 ‘-이’는 (2)의 ‘많이’와 ‘높이’처럼 부사를 파생하는 접미사로 쓰이는 ‘-이’와는 구분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2)에서 쓰인 ‘-이’는 부사를 파생하는 파생 접사로 처리하고, (1)의 ‘-이’는 부사절을 만드는 부사형 어미로 처리할 가능성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현행의 고등학교 문법(2009)에서는 (1)과 (2)에서 쓰인 ‘-이’를 모두 부사를 파생하는 접미사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는 문법적 성격상 부사 파생 접미사로 처리할 가능성과 부사형 전성 어미로 처리할 가능성이 다 있습니다만, 학교 문법에서는 (1)과 (2)의 ‘-이’를 모두 부사 파생 접미사로 다루고 있습니다.
ㄴ 나찬연 교수
------------------------------------------------------------
어미적인 성격이 남아 있는 이유(심화)
‘그 아이는 [형과는 달리] 사교성이 있다.’, ‘철수가 [말도 없이] 가 버렸다.’에서 ‘달리’와 ‘없이’는 어간에 부사 형성 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므로 부사로 볼 수 있지만, 이때 ‘-이’에 어미적인 성격이 남아 있다. 곧 ‘형과는 달리’와 ‘말도 없이’는 부사 파생 접미사가 결합한 부사절이다.
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왜 "어미적 성격이 남아 있다"라고 했을까? 중세국어로 가 보자.
'-이'가 중세 국어에서 부사형 어미로 활발하게 쓰였다고 한다. '-이'가 부사형 어미로 잘만 쓰이다가 '-게'에게 그 지위를 뺏겼고('-이 ㅎㆍ-'의 구성이 '-게 ㅎㆍ'의 구성으로 바뀌는 등) '-이'는 통시적인 변화를 거친 것이다. 굴절접사 즉 어미인 '-이'가 부사파생 접미사로 기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소리도 없이'와 같은 형태는 중세 국어에서 부사형 어미였던 '-이'가 파생 접사 '-이'로 그 기능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아직 어미적인 성격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ㄴ 구본관 교수('맛 없이' 구성에서 '없이'를 접사가 붙은 부사로 보기 어렵다. 오히려 어미가 붙은 것으로 보아 '맛(이) 없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 이외에도 여러 예시가 존재)
다만 여기서도 중세 시절 '-이'가 어미와 접사로 혼용되었다는 설명이 있긴 한데 어미가 많이 쓰인 기록이 있어 통시적으로 어미에서 접미사로 굳어져 변화한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지 않나 싶다.
어휘의 파생과 굴절을 확실히 구분해야 이러한 논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텐데 언어 체계가 생각보다 너무나 복잡하게 얽혀 있다.
0 XDK (+3,000)
-
2,000
-
1,000
-
이게 현실일 수도 있다니 아직은 모르지만 가능성이 0%는 아닌 상태임 내가 이렇게...
-
갑자기 궁금하네
-
시대 인문반은 ㄹㅇ 쓰레기임? 그럴바엔 잇올을가래는데 시대갤에 물어봐도 아무도 대답안해줌ㅜㅜ
-
설대를가야겠어
-
른 rapper들의 반대편을 바라보던Rapper들의 배포 그건 백프로 개뻥뭐든 개...
-
합격할 수 있을까요???
-
삼성닷컴 예구하려는데 뭔 대기번호가 2000번이
-
왜지?
-
지금 공통반, 미적반 두 개 다니고 있는데 3월 되면 모든 반들이 공통+미적 같이...
-
맞팔구 7
흔하지 않은 맞팔구
-
러셀 윈터스쿨모 후기나 공유합시다 전 국어는 약간어렵고 수학은 쉬웠네요
-
맛잇긴하다..
-
라떼는(틀딱아님) 애들이 엄청 순수하고 또 인구수도 많았음 어느정도였냐면 초1때...
-
나 여장 견적좀 잡아주라
-
레어확인 2
루프트한자
-
결국 합격함 ㄷㄷ
-
하디복추는 오래걸려도 10분내외컷되는데 코돈이 ㄹㅇ 답없네 하..벌써 선택과 집중해야하나
-
그때가 수능 일주일 정도 남았을 때였는데 하필 그때 개꿀잼 메타가 돌아버려서...
-
이찬란한은테를보라 으하하
-
진짜 레어 다 뺏겨 있네
-
냥대식 953.x 성균식 665.x 서강식 504.x 15
설대식 393.x 고대식 653.x...... 연대식은 기억도안난다 ㅋㅋ 평백은...
-
연세대 9
선배님을 만났다. 근데 부정당했다. 더러운 족속이라고. 나도 서류상 연세대...
-
베이핑은 ㄹㅇ 어디서 나온 아이디어냐 ㅈㄴ 참신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진짜2명남음 2
팔취하신분돌아와주세요
-
네.
-
사탐런 제발요 2
국수영에 시간투자+과탐 고인물 사이에서 못살아남을듯 이런 이유로 재수 사탐런을 함...
-
6개 정도는 먹어야 씅에 찰 듯
-
설대 기균 0
설대 정시 기균으로 자과대 어느정도여야 갈 수 있나요?
-
집 도착 5
드디어 첫끼 먹어요
-
대킹버드는 신이야
-
난 간다
-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뵙겠습니다 과외를 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
막 그 고딩이 된 것 같고 어우 그냥 좋아 오르비 중독이었던 나…
-
너네 싹다 영정이였어 으이!!! 는 농담이고 드디어 자유민주주의오르비가실현이되었군요...
-
컨설팅 자체가 스캠인지 특정 업체만 올해 똥볼찬건지 일단 난 좋긴 했어서
-
저는 작년에ㅍ 컨설팅을 받았어요!!
-
흠냐흠냐
-
왕왕굿 소원성취했다
-
누가팔취했는교 8
엉엉
-
김승리 듣다가 문학은 뭔가 아쉬워서 피램 같이 하려하는데 인강을 멈춰야하나 아니면...
-
23수능 지구 1이었는데 화학이 4였었음,, 2년 학교 다니다가 군수로 다시 수능...
-
뭐하는사람들임? 입시전문가임 아니면 그냥 공부잘하는 사람들임 보니까 대학들어간지...
-
쓰레드<< 여기는 진짜 심연이드라
-
서강대식 점수 503.76 경제학과 붙나요? 투표점…
-
닉네임의 정상화 2
뀨뀨대를 붙이긴 좀그렇고 그냥 줄임말로 다녀야지
-
1.컨설팅쓰고 피해사례 속출 2.어쩔티비 3.합격사례 오르비 올리기 4.그걸 본...
-
y^x=x^y를 그래프 생성 앱에 입력하면 아래처럼 나오는데 저 교점?같은부분...
게이야는
게 -이 야 인걸로 합시다
부사격 부사파생 호격
"'없이'의 '-이'가 '-게', '-도록'과 함께 부사절을 만드는 기능을 한다고 하면, 이들 모두를 부사형 어미라고 부를 수 있는 가능서도 배제하지는 못할 것이다. 또한, 만약 '-이'를 부사형 어미로 본다면 부사 파생 접미사 '-이'와는 구별하여 '-이1', '-이2'를 구별하여야 할 것이다.'(p.202). 반면에 부사형 어미 '-이'를 설정하기도 한다.(p.199)
ㄴ 제7차 학교 문법 <교사용 지도서>
내신이라면 걍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게 답. 수능이라면 출제가 될진 모르겠지만 될 수도 있으니 된다면 일단 부파접으로 보고 부사절로 보되, 문제의 보기를 상대적으로 보고 유동적으로 문제를 풀어야 할 듯.
허허 고1 이라는게 신기신기 (5천덕 다른 분 드려도 됩니다 :) 대신 궁금한게 좀 있어서 그런데 개인 쪽지 드려도 될까요?)
네 됩니다.